온라인 논문투고

HOME > 자료실 > 학회지

 
저자
박훈
 조회수 : 1,500
제목 세대(世帶) 관점에서 바라본 부동산 관련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의 합리적 과세단위 개선방안 ( 2020년 08월 7권 2호, 109 ~ 140 )
출처 한국지방세학회 지방세논집 (2020년)
    05박훈.pdf (385.0K) [44]

이 글은 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라 가족의 구성원수의 변화가 있다는 전제에서 부동산 관련 세금의 과세단위의 현황을 파악하고 과세단위와 관련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부동산 관련세금은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더 나아가 관련된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까지 포함한 것이다.

이 글의 구성은 ()부동산 관련 지방세의 과세단위 관련 기본사항, ()예외적으로 세대 과세단위를 인정하는 부동산 관련 지방세의 문제점, ()예외적으로 세대 과세단위를 인정하는 부동산 관련 지방세를 개인단위로 통일하는 방안과 예외적 세대 중심의 통일방안 등의 개선방안, 그리고 ()결어의 순서로 되어 있다.

취득단계의 취득세, 보유단계의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처분단계의 양도소득세와 개인소득세의 경우를 보면, 취득, 보유 및 처분 단계별 과세단위의 불일치성, 세대 여부 파악의 과세상 어려움, 1인 세대와 대가족 세대의 과세상 차별, 부부의 소득을 합쳐 고려하는 것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단위로 통일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1인 중심의 과세체계가 이미 정립된 상황에서 부동산세제라고 해서 이를 예외적으로 달리 볼 것은 아니다. 종합부동산세의 경우 주택에 대해 세대별 합산의 위헌결정으로 개인별 과세로 변경된 그 취지에서도 그렇다.

다만 개인별 과세가 1세대 다주택자에 대해 과도한 혜택이 될 수 있다는 점, 부동산세제와 다른 세제와의 차별성 등을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개인단위 이외의 과세단위를 유지를 해야 한다면, 비과세, 감면 및 중과라는 예외시 통일적인 과세단위 정립은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구방식(주민등록지요건만 요구하는 방안)보다는 세대방식(생계요건에 초점을 맞추는 방안)이 더 타당하다. 생계요건에 초점을 맞추는 세대방식이 부동산세제의 정책목적에 더 부합되기 때문이다. 세대 기준으로 통일하는 경우 여러 세법에 흩어져 있는 세대 개념을 하나로 통일하는 입법적 조치가 이루어 져야 한다.






 

AND OR
Total. 108
번호 분류 발행년도 제목 저자명 조회수
78 지방세논집 2016년  사실혼해소에 따른 재산분할과 취득세 | 이동식 1519
77 지방세논집 2020년  지방세논집 총목차(창간호부터 2020년 8월까지) | 편집위원회 1518
76 지방세논집 2020년  세대(世帶) 관점에서 바라본 부동산 관련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의 합리적 과세단위 개선방안 ( 2020년 08월 7권 2호, 109 ~ 140 ) | 박훈 1501
75 지방세논집 2015년  최근 지방세법 판계 핵심쟁점-장상록- | 1492
74 지방세논집 2019년  부동산 공시가격제도의 법적 쟁점 | 황남석 1489
73 지방세논집 2015년  상생발전을 위한 수직,수평적 세수공유제도 도입 방안-임상빈,최원삼- | 1488
72 지방세논집 2019년  지방세논집 제6권 제2호 목차등(권두언, 총목차 포함) | 1488
71 지방세논집 2020년  도산실무상 제기되는 지방세법상 쟁점 ( 2020년 08월 7권 2호, 141 ~ 161 ) | 이주헌 1482
70 지방세논집 2017년  전기충전시설에 대한 지방세 과세방안 | 허등용 1475
69 지방세논집 2014년  한국의 지역자원시설세와 일본의 전원개발촉진세의 비교-이동식, 황헌순- | 1474
68 지방세논집 2016년  국내등록 국제선박에 대한 지방세감면 특례 제도 효과분석 | 김정인 1473
67 지방세논집 2019년  3자간 등기명의신탁의 경우 취득세 납세의무자 | 임재혁 1473
66 지방세논집 2018년  읍면동 주민자치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재산관리기능을 중심으로 | 김홍환 1465
65 지방세논집 2017년  지방세무공무원 연수과정 개선방안 | 구균철 김경민 1458
64 지방세논집 2016년  세무조사의 중복성에 관한 법리적 검토 | 정승영 1457
 1  2  3  4  5  6  7  8